d라이브러리









[기획] K-과학 투어 헌터스를 위한 과학 여행지 40선

▲국립해양박물관, 이한철

 

여행, 좋아하세요? 좋아한다면 여행 취향은 어떻게 되나요? 자연, 도시, 휴양, 역사···, 여러 취향이 있겠지만 의외로 이런 답은 잘 나오지 않습니다. “과학이요!” 하지만 과학 여행, 생각보다 꽤 재밌습니다. 그래서 과학 콘텐츠 장인 과학동아가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한국 과학 여행지 40선’을 선정해 봤습니다. “과학도 여행 테마가 될 수 있다”는 걸 증명해 보이는 마음으로요. 지금부터 그 선정 과정과, 최종 선정된 40곳을 소개합니다. 

 

이 기사는 한국관광공사의 제작 지원을 받았습니다.

 

10인의 선정위원회, 치열한 지명전

 

OTT 플랫폼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영화 ‘K-팝 데몬 헌터스’가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K-팝 아이돌이자 퇴마사인 주인공이 악령과 맞서 싸우는 이야기로, 한국의 문화와 역사를 훌륭하게 고증해 냈죠. 이렇게 전 세계를 뒤흔드는 건 K-팝뿐만이 아닙니다. K-푸드(한식), K-드라마, 최근에는 K-여행이 더욱 각광받고 있습니다. 2025년 상반기엔 882만 명이 넘는 외국인 관광객이 한국을 방문했는데 이는 2024년 대비 14.6%나 늘어난 수치죠.


그렇지만 K-여행을 익숙하게 즐기는 사람들에게도 여전히 낯선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과학 여행’입니다. 그 이유는 과학을 주제로 어떤 여행을 해야 하는지, 어디를 가야 하는지를 모르기 때문일 겁니다. 그래서 과학동아가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머리와 몸으로 즐길 수 있는 한국의 과학 여행지 40곳을 선정해 보기로 했습니다.


과학동아는 총 10명의 선정위원회를 꾸렸습니다. 우선 다양한 과학 분야에서 대중들과 소통하던 7명의 전문가들을 찾았습니다. 우경식 강원대 지질학과 명예교수,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명예교수, 장이권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교수, 임종덕 국립문화유산연구원장, 유주형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대외협력본부장, 문경수 과학탐험가 겸 국가유산청 자연유산위원회 전문위원, ‘항성’이란 이름으로 활발히 활동하는 과학 커뮤니케이터 강성주 모어사이언스 이사가 힘을 보태주셨습니다. 그리고 3명의 과학동아 편집부도 함께 머리를 맞댔습니다. 이영혜 편집장, 이창욱 부편집장 그리고 기자죠.


선정 과정은 정량적 평가와 정성적 평가, 그리고 지역 균형 조정 등 총 세 단계로 이뤄졌습니다. 우선 선정위원회 10인에게 과학 여행지를 추천받았습니다. 100개가 넘는 후보가 모였죠. 이후 투표를 진행했습니다. 투표는 서울·경기·인천, 강원, 충북, 대구·경북, 제주 등 총 9개 권역별로 진행했습니다. 선정위원들은 권역별로 1순위부터 마지막 순위까지 순위를 매겼습니다. 강원 권역의 여행지에 1순위부터 마지막 순위까지 투표하는 식입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지역별 안배를 거쳐 최종 40선을 선정했습니다.

 

공룡 좋아하세요? 임종덕 국립문화유산연구원장이 ‘안면도 쥬라기 박물관’을 소개합니다.
임종덕 원장: 한국에서 가장 많은 진품 공룡 화석이 전시된 안면도 쥬라기 박물관이에요.
임종덕 원장: 영화 쥬라기공원3의 주인공, 스피노사우루스 진품 골격도죠. 영화에선 스피노사우르스가 티라노사우루스와 싸우지만, 실제로 스피노사우루스는 얕은 물가에서 물고기를 사냥해 먹었던 공룡입니다.
임종덕 원장: 공룡 허벅지 뼈의 단면을 본 적 있으신가요? 뼈랑 뼈 안의 골수까지 보이죠? 이곳에선 사우로포드류 허벅지 뼈의 단면을 직접 만져볼 수도 있습니다.
임종덕 원장: 멸종된 포유류, 스테고돈과 매머드, 플라티벨로돈의 진품 이빨 화석을 직접 만져볼 수 있습니다. 무엇을 먹었는지에 따라 천차만별인 멸종종의 이빨입니다.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