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에 뜬 인공 ‘눈’, 암흑선단 잡는다!

불법조업이 지속가능한 어업을 어렵게 하지만, 바다가 워낙 넓다 보니 불법조업을 잡아내기가 영 쉽지 않대. 하지만 이것도 옛말이 될지도 몰라. 하늘에 뜬 인공위성은 육지와 바다를 가리지 않거든!

 

동해 오징어 불법조업, 인공위성에 딱 걸렸다


7월 22일, 중국 어선이 북한의 동해에서 2년간 오징어를 불법으로 조업했던 증거가 드러났어요. 북한 동해는 국제연합(UN)이 2017년부터 해외 어선이 물고기를 못 잡게 정한 곳이에요. 그럼에도 이곳에서 불법조업을 하는 해외 어선이 있는지 보기 위해 국제비영리단체 ‘글로벌어업감시(GFW)’가 나섰던 거지요. 


2016년 설립된 GFW는 이전까지 어선의 자동식별장치(AIS)로 전 세계 조업 활동을 감시해왔어요. AIS는 어선의 위치와 속도, 크기 등의 정보를 위성으로 전 세계 어선과 관리기관 등에 보내요. 문제는 불법 어선이 AIS를 끄고 다녀 ‘암흑선단’이라 불린다는 점이에요.


연구팀은 암흑선단을 찾기 위해 세 가지 위성을 더 이용했어요. 먼저 고해상도 사진을 찍는 위성으로 어선의 모습을 선명하게 담은 이미지를 얻었어요. 날씨가 안 좋은 날엔 구름도 통과하는 위성 레이더로 이미지를 얻었지요. 마지막으로 고감도 적외선 감지 위성으로 밤에 불을 켜고 오징어를 잡는 배들을 이미지에 담을 수 있었어요.


이렇게 얻은 이미지들을 분석한 결과, 연구팀은 북한 어선이 아닌 것으로 보이는 배의 특징을 두 가지 발견했어요. 하나는 두 어선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함께 움직이며 대형 그물을 끄는 ‘쌍끌이 어선’이고, 다른 하나는 밤에 불을 켜는 ‘오징어잡이선’이었어요. 이들이 어느 나라에서 왔는지 알아내는 데는 일부 어선의 AIS 정보가 쓰였어요. AIS를 켠 일부 어선이 중국에서 출발해 중국으로 돌아갔다는 걸 확인한 거예요. 연구팀은 2017년에는 904척, 2018년에는 718척 이상의 중국 어선이 불법조업을 했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이번에 적발된 쌍끌이 어선은 큰 그물로 바닷속을 쓸어 오징어 남획의 원인으로 꼽혀요. 게다가 중국의 오징어잡이선은 한국과 일본이 남획을 막기 위해 정한 밝기보다 밝은 빛을 사용했지요. 이런 점을 고려해 어획량을 추정한 결과, 연구팀은 중국 어선이 약 16만 톤에 달하는 오징어를 불법조업했다고 결론을 내렸어요. 연구에 참여한 글로벌어업감시의 박재윤 선임연구원은 “불법조업 피해를 크게 입는 남미와 서아프리카, 동아프리카 국가들이 관심을 보여 같은 연구를 해당 바다에서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용어정리

*2017년 UN 안전보장이사회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실험에 대응해 북한 바다에서 해외 어선이 물고기를 잡지 못하도록 결정했다. 해외 어선이 북한 바다에서 조업을 하려면 조업권을 구입해야 하는데, 이런 경제적 거래를 차단한 것이다.

 

 

2020년 18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이다솔 기자 기자

🎓️ 진로 추천

  • 해양학
  • 국제학
  • 환경학·환경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