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Part 3. 로봇이 스키를 타는 비결은?

사람도 스키를 처음 배울 땐 넘어지기 일쑤예요. 미끄러운 눈 위에서 중심을 잡는 일이 쉬운 게 아니지요. 그런데 어떻게 로봇이 스키를 탈 수 있는 걸까요?

 

 

 

최초의 휴머노이드는 일본 와세다대학교 가토 이치로 교수팀이 1973년에 만든 ‘와봇 1호’예요, 두 발로 걸을 수는 있었지만 몇 걸음이 고작이었지요. 이후 30년이 지나서야 두 다리로 자연스럽게 걷는 로봇인 ‘아시모’가 만들어졌답니다. 로봇이 걷는 것도 어려운데, 스키는 어떻게 타는 걸까요?

 

스키를 타는 사람이 방향을 돌릴 때엔 무게중심을 이용해요. 오른쪽으로 돌고 싶으면 오른쪽 무릎을 굽히면서 허리를 오른쪽으로 틀지요. 그러면 무게중심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넘어지지 않고 방향을 돌릴 수 있답니다.

 

스키 로봇도 이와 비슷한 원리로 스키를 타요. 눈의 역할을 하는 카메라와 뇌를 담당하는 인공지능, 감각 기관을 대신하는 센서, 몸을 움직이는 모터 등을 이용하지요. 카메라가 영상을 찍으면 이를 인공지능이 분석해서 최적의 경로를 만들어요. 그러면 관절에 달린 모터를 움직여서 무게중심을 이동해 방향을 돌리고, 압력, 기울기 센서를 통해 넘어지지 않도록 중심을 잡지요. 이 모든 과정이 0.005~0.008초마다 한 번씩 연속적으로 이뤄진답니다.

 

 

# 아직 스키 로봇의 움직임은 완벽하지 않아요. 하지만 연구가 계속된다면 가까운 미래에는 로봇과 사람이 스키 시합을 벌일 날도 오지 않을까요? 앞으로 계속될 스키 로봇의 도전을 함께 기대해 봐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인공지능으로 씽씽! 스키 로봇 챌린지

Part 1. 로봇들의 겨울 축제, 스키 로봇 챌린지

Part 2. 스키 로봇 챌린지의 도전자들

Part 3. 로봇이 스키를 타는 비결은?

2018년 02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정한길 기자·jhg1road@donga.com
  • 사진 및 도움

    한재권(한양대학교 융합시스템학과 교수), 엄윤설(숙명여자대학교 산학협력중점 교수), 이석민(미니로봇 이사), 이범주(명지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 조백규(국민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 이학(경북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 설우진(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연구원), 이우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 연구원), 정현준(한국로봇융합연구원 ICT로봇융합연구센터 선임), 한국로봇산업진흥원
  • 기타

    [일러스트] 박장규

🎓️ 진로 추천

  • 컴퓨터공학
  • 전기공학
  • 기계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