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균끼리 어려울 때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스탠퍼드대의 데일 카이저 교수팀은 믹소박테리아라는 세균이 움직이지 못하는 다른 세균에게 단백질을 전달해 다시 움직이도록 도와주는 것을 발견했다. 믹소박테리아는 흙 속에 살며 유기물을 먹는 세균으로, 섬모라는 작고 가는 돌기를 이용해 한데 모여 살아간다. 이 연구결과는 7월 1일 ‘사이언스’지에 실렸다.

연구팀은 섬모를 제어하는 단백질을 만들지 못해 움직이지 못하는 돌연변이 세균이 정상적인 세균들과 함께 붙어있을 때 다시 움직이는 것을 발견했다. 이들은 움직일 수 있는 세균이 움직일 수 없는 동료들에게 Tgl이라는 단백질을 전달할 것으로 추측했다.

연구팀은 실험 결과 섬모가 있지만 Tgl 단백질이 없는 세균이 다른 세균에서 단백질을 받아 이동력을 회복하는 것을 발견했다. 카이저 교수는 “이것은 공생의 멋진 본보기”라고 설명했다.

2005년 08월 과학동아 정보

    🎓️ 진로 추천

    • 생명과학·생명공학
    • 화학·화학공학
    • 환경학·환경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