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철 CD 주의 요망

스페인 연구팀 CD 먹는 균 발견

반영구적 정보저장매체로 알려진 CD에도 천적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스페인 과학연구위원회(CSIC)는 6월 15일 산하 생물학연구센터(CIB)의 연구팀이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CD를 파괴하는 균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지오트리쿰(Geotrichum)속(屬)의 이 균은 기온 30°C 이상 습도 90% 정도의 조건에서 CD 표면에 코팅된 합성수지 폴리카보네이트를 먹어치운다. CD를 보호하기 위해 코팅된 이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의 구성성분인 탄소와 질소가 이 균의 먹이라는 것.

연구팀은 그동안 폴리카보네이트가 상대적으로 잘 파괴되지 않는 재료로 여겨져 왔기 때문에 이번 발견은 놀라운 일이라고 설명했다. 또 연구팀은 필요없게 된 CD를 모아 실험한 결과 이 균이 폴리카보네이트를 먹고 살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CD에 저장된 정보를 훼손하기도 한다고 강조했다. CD가 100% 안전한 정보저장매체가 아니라는 사실이 밝혀진 셈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이 균은 밀감, 오렌지, 당근 등에 불쾌한 냄새를 풍기면서 물컹해지는 부패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기온과 습도가 높을때 빠르게 번식한다. 따라서 여름철 장마기간 동안 CD관리에 주의가 요망된다.
 

CD를 코팅하는 폴리카보네이트를 먹는 균.
 

2001년 07월 과학동아 정보

  • 동아사이언스 편집부

🎓️ 진로 추천

  • 생명과학·생명공학
  • 화학·화학공학
  • 환경학·환경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