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획][기사로 읽는 수학] 물가는 왜 오르는 걸까요?

최근에 물가가 빠르게 오르고 있어요. 물가는 여러 가지 물건의 가격을 조사해서 평균★을 구한 거예요. 1400원이던 식빵이 15년 뒤 3000원이 됐다면, ‘물가가 올랐다’라고 해요.


물가가 오르는 이유는 여러 가지인데, 그중 하나는 시간이 지나며 돈의 가치가 낮아지기 때문이에요. 한국은행★은 경제가 활발해지도록, 만드는 돈의 양을 늘리기도 해요. 돈이 많아지면 사람들은 물건을 더 많이 사고, 회사는 일할 사람을 더 뽑게 되지요. 이렇게 돈이 잘 돌고 일자리가 많아질 때 경제가 활발하다고 해요. 


하지만 돈이 많아진 만큼, 돈의 가치는 낮아져요. 그러면 같은 빵을 사기 위해 예전보다 더 많은 돈이 필요해요. 월급이나 용돈은 조금만 오르는데 물건값이 더 많이 오르면, 꼭 필요한 것조차 사기 힘든 사람이 생겨 문제가 돼요.

 

 

넌센스 그림 퀴즈

 

그림과 설명이 나타내는 용어는 무엇일까요? 
빈칸을 알맞게 채워 보세요.

 

#가격 #상승

음식이나 물건이 가게에서 보통 얼마에 팔리는지를 나타내는 평균적인 가격이에요.

 

 

#대푯값

여러 수의 모임에서 그 모임을 대표하는 수를 말해요.

 

 

용어 설명
평균★ 여러 수의 모임에서 그 모임을 대표하는 수를 말해요. 만약 가격이 1000원, 2000원, 3000원인 라면이 1개씩 있을 때, 라면의 평균 가격은 2000원이지요.
한국은행★ 우리나라의 화폐를 만들어 내고, 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특별한 은행이에요.

2025년 8월 1일 어린이수학동아(15호)  정보

  • 박소은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