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상 인터뷰] 수학으로 조선을 일으켜라! 최석정

Q. 직교라틴방진이란 게 대체 뭔가요? 
먼저 ‘라틴방진’부터 설명해야겠군요. 가로, 세로 칸의 개수가 같은 정사각형 표를 생각해 봐요. 만약 가로·세로 3칸이라면, 총 9개의 칸에 1부터 3까지의 숫자 중 하나를 적는 거예요. 이때 가로줄·세로줄에 같은 수가 반복되지 않도록 수를 배열한 걸 ‘라틴방진’이라고 불러요. 라틴방진 2개를 겹쳐 하나로 합쳤을 때 각 칸에서 만나는 숫자의 조합이 모두 다른 경우 ‘직교라틴방진’이라고 해요. 숫자 대신 문자를 쓸 수도 있지요.

 

Q. 이렇게 복잡한 숫자표는 왜 만드는 거예요? 
수의 여러 가지 규칙과 성질을 연구하기 위해서예요. 그 원리를 이용해 어떤 일이 일어날 가능성을 계산하기도 해요. 또 오늘날 전자제품이나 자동차 등에 없어선 안 되는 ‘반도체’에도 이용된답니다. 회로에 신호를 보낼 때 서로 겹치지 않도록 만들어야 하거든요. 

 

Q. 조선의 수학을 발전시킨 분이라고 들었어요!   
허허, 쑥스럽군요. 저는 서양과 중국의 각종 수학 이론을 공부해 <;구수략>;을 펴냈지요. 당시 조선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뒤라 성한 땅이 없었어요. 빨리 성을 다시 쌓고, 토지를 복원시켜야 했기에 수학 지식이 매우 필요했답니다. 나랏일을 하는 관료이자 학자였던 제가 수학 공부에 관심을 기울인 이유였지요.

2021년 12월 15일자 어린이수학동아(16호) 정보

    🎓️ 진로 추천

    • 수학
    • 역사·고고학
    • 건축학·건축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