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집] 그림 점자 | 새로운 감각을 열다

안녕? 나는 점자를 이용해 세상을 봐. 점자는 나의 눈이 되어 주기 때문에 없어서는 안 될 도구지. 그런데 최근 그림을 점자로 표현하는 새로운 기술이 개발됐다는 소식을 들었어. 상상 속에만 존재하던 세계를 드디어 만날 수 있는 걸까?

 

 

글자 점자가 있는데 그림 점자가 왜 필요하냐고? 그림 점자를 이용하면 정보를 한눈에 알 수 있기 때문이야. 이번에 개발된 그림 점자는 다른 점자와 어떤 점이 다를까?

 

 

무늬도, 질감도 생생하게 느낀다


“장수풍뎅이 생김새가 실감나게 느껴져요.”


서울 실로암시각장애인복지관에서 만난 김한 교정사는 기자가 건넨 곤충 그림 점자책을 손끝으로 더듬으며 말했어요. 김한 교정사는 2015년 시력이 저하돼 실명에 이르게 된 후천적 시각장애인이에요. 김한 교정사는 책을 만지며 “어릴 적 봤던 장수풍뎅이가 어렴풋이 떠오른다”며 “투구같은 뿔 모양도 잘 느껴진다”고 덧붙였습니다. 

 


점자는 시각장애인이 사용하는 볼록한 특수 문자예요. 점자는 크게 점역과 인쇄, 교정을 거쳐 만들어집니다. 점역은 문자나 그림을 점자로 번역하는 과정이에요. 점역이 끝난 파일을 점자 프린터기 등으로 출력하고, 점역이 잘 됐는지 살펴보는 교정을 거치면 점자책이 완성돼요.


점자는 글자 점자와 그림 점자로 분류됩니다. 글자 점자는 문자를 표기하기 위한 점자입니다. 그중 한글 점자는 한 글자를 총 6개의 점으로 표현해 다양한 글자를 나타낼 수 있어요. 반면 그림 점자는 특정한 규칙이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기존의 점자는 대부분 글자 점자였고, 그림 점자도 윤곽만 전달하는 한계가 있었어요. 그러나 지난 7월 29일,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색다른 그림 점자를 소개했어요. 천연기념물 동물이 묘사된 이 그림 점자는 점자의 크기와 높이가 각각 달랐어요. 이는 점자의 크기를 다르게 표현하는 방식인 ‘다단 기법’을 이용했기 때문이에요. 그림 테두리는 점자의 크기가 크지만 그림 내부는 점자의 크기가 작지요. 김한 교정사가 만진 곤충 책도 다단 기법으로 제작된 그림 점자책이에요. 


다단 기법을 이용해 그림 점자를 만든 이유는 시각장애인이 점자로 다양한 그림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예요. 2024년 국립국어원이 점자를 사용한 시각장애인 50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시각장애인의 약 93%는 점자가 자립에 필수적이라고 응답했어요. 그러나 약 71%가 점자 도서가 풍부하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점자가 만들어지는 단계

 

➊ 점역: 문자나 그림을 점자로 바꾼다. 

 


➋ 인쇄: 프린터로 연결해 출력한다. 

 


➌ 교정: 점역이 잘 됐는지 확인한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25년 10월 1일 어린이과학동아(19호) 정보

  • 박연정
  • 사진

    동아사이언스
  • 디자인

    최은영
  • 도움

    조항태(제일특수기획 대표), 박귀선(담심포 대표),  서울대학교 글로벌사회공헌단, 서울대학교 학생사회공헌단 배리어프리팀,  오세나(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홍보서비스 담당자), 곽정아(실로암시각장애인복지관 점역팀 점역사),  김한(실로암시각장애인복지관 점역팀 교정사),  임종덕(국립문화유산연구원 원장),  김유경(국립문화유산연구원 연구기획과 학예연구사)
  • 참고자료

    <2020년 장애인 실태조사>(보건복지부, 2020),  <2020 한글점자규정해설서>(국립국어원, 2020)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