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요기사][전 세계 바다로 다이빙!] 문어보다 높이 뜬다, 오징어

바다에서 부드러운 몸의 연체동물을 만났어요. 
저 동물은 문어일까요, 오징어일까요? 
문어와는 다른 점이 많은 오징어를 만나 보세요.

 

 

다리와 신경세포 수로 구분한다


오징어는 큰 눈과 8개의 다리, 그리고 2개의 촉수를 지닌 연체동물이에요. 문어와 같은 두족강에 속하고 몸이 부드러운데, 막대 모양의 키틴 골격이 몸 안에 있다는 차이가 있어요. 키틴은 갑각류 껍질에 있는 딱딱한 성분이지요. 또 오징어는 8개의 다리만 가지고 있는 문어와 달리 촉수 두 개가 더 달려 있습니다. 


오징어는 문어에게 없는 기관도 있어요. 부력을 조절하는 기관이지요. 부력은 물 등 유체에서 물체가 뜨도록 도와주는 힘을 말해요. 오징어는 부력 조절 기관에 있는 액체와 기체의 양을 조절해 물속에서 움직이고 떠오르기도 해요. 반면 문어는 이런 기관이 없어 바닥을 기어다니는 생활을 합니다. 


두 동물의 신경세포 수에도 차이가 있어요. 오징어 뇌에는 개체당 2000만~3억 개의 신경세포가 있습니다. 문어는 이보다 더 많은 약 5억 개의 신경세포가 뇌와 다리에 있어요. 

 

 

오징어, 바다의 영양


오징어는 문어처럼 전 세계 모든 바다에서 살고 있어요. 우리가 오징어라고 가장 많이 부르는 종은 살오징어라는 종입니다. 몸길이가 15~50cm이고 플랑크톤이나 작은 새우류를 먹고 살아요. 


오징어 중에서 가장 무거운 오징어는 남극하트지느러미 오징어예요. 몸길이는 최대 6~10m에 무게가 600~700kg입니다. 성인 몸무게의 10배이지요. 


가장 길이가 긴 오징어는 대왕오징어예요. 무게가 495kg이고 몸길이는 10m입니다. 눈의 크기가 축구공보다도 커서 동물 중에서 가장 커요. 가장 작은 오징어 종은 피그미 오징어로 몸길이가 1~1.8cm에 불과합니다. 


오징어는 대부분 1년 주기로 살아가는 동물이에요. 1년 동안 빠르게 성장한 뒤 번식을 하고 죽어요. 그나마 오래 사는 오징어 종은 대왕오징어로 수명이 2~5년입니다. 


오징어는 먹이사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어요. 많은 바다 생물들이 오징어를 먹이로 삼아 영양을 섭취하지요. 주요 포식자는 향유고래와 코끼리물범, 펭귄, 갈매기입니다. 산란을 거쳐 쇠약해진 오징어는 소멸하면서 깊은 바다에 영양분을 남기기도 합니다. 해양생물학자들은 주로 대게와 홍게 등이 오징어가 남긴 영양분을 얻는다고 추측하고 있어요. 사람들도 동물처럼 오징어를 식재료로 많이 활용해 단백질 등 영양분을 섭취하고 있지요. 


우리나라 울릉도에서 흔하게 발견되던 오징어는 지구 온난화와 남획 때문에 점점 울릉도에서는 보기 어려워지고 있어요. 예전보다 수온이 높아지면서 오징어의 이동 경로나 번식 시기에 변화가 생겼기 때문이에요. 그러면서 최근에는 울릉도보다는 제주도나 울진에서 많이 어획되었습니다. 2024년 기준 동해에서의 오징어 어획량은 2906t(톤)이었습니다. 2018년 어획량인 1만 5903t과 비교하면 5배 넘게 감소한 셈이지요. 

 

▲오징어알

 

 

 

저자소개
심수환(해양생물학자, 해양 사진작가): 우석대학교 대학원에서 산호충강을 전공하고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해양 환경 및 생태계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주로 산호와 해조류의 서식 환경과 말미잘의 분류에 대해 연구했다.

2025년 8월 15일 어린이과학동아(16호) 정보

  • 글 및 사진

    심수환(해양생물학자, 해양 사진작가)
  • 에디터

    장효빈
  • 디자인

    김효진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