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평소에 자외선을 차단해야 하는 이유는 알겠어! 그러면 선크림만으로 충분히 차단할 수 있는 걸까? 한 번 바른 선크림은 얼마나 오래 가는 거지?
큰 숫자보다 자주 바르는 게 중요
한 번 자외선에 의해 상한 피부는 다시 쉽게 돌아오지 않아요. 따라서 피부가 건강할 때 최대한 자외선을 차단하는 게 중요하죠. 대표적인 자외선 차단 용품이 바로 선크림(자외선 차단제)입니다.
선크림에는 크게 두 가지 지수가 적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자외선 차단 지수(SPF, Sun Protection Factor)예요. UVB를 차단하는 정도를 나타낸 지수로, 쉽게 말해 햇볕에 피부가 덜 타는 정도를 나타낸 거예요. SPF의 숫자가 높을수록 차단 효과가 더 크죠. 미국피부과학회에 다르면 SPF15의 UVB 차단율은 약 93%, SPF30은 약 97%, SPF50은 약 98%로 나타났어요. 다만 이는 피부 1cm²에 선크림을 2mg 두께로 발랐을 때의 결과예요. 일상에서 선크림을 바를 때는 훨씬 적은 양을 쓰기 때문에 제품에 쓰인 숫자만큼의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요.
PA와 SPF의 차이

두 번째 지수는 PA(Protection grade of UVA)입니다. UVA를 차단해서 색소 침착, 즉 기미나 주근깨 그리고 주름 등을 예방하는 정도를 나타낸 지수예요. + 부호를 1개부터 4개까지 달아서 그 개수로 차단 효과를 나타내죠. SPF 지수와 PA 지수를 높이려면 자외선을 차단하는 성분이 더 많이 들어가야 하는데, 피부를 자극하거나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어 민감한 피부를 가진 사람에게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국가는 선크림에 ‘SPF50+’ 이상을 표기하지 못하도록 해요. 지수가 높으니 한 번만 발라도 괜찮다는 오해를 막기 위해서죠. 자외선 차단 성분은 햇빛에 오래 노출되면 분해되어 효과가 떨어지고, 땀 때문에 선크림이 지워질 수 있기 때문이에요. 우리나라 질병관리청은 UVA와 UVB를 모두 차단하는 SPF15, PA++ 이상의 선크림을 사용하고, 2시간마다 덧바르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또, 소비기한이 지난 선크림은 자외선 차단 효과는 적고 피부에 자극만 줄 수 있어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상명대학교 화학에너지공학과 강상욱 교수는 “만든 날로부터 오래 지난 선크림은 화학 성분의 구조가 변형되거나 분해되어 자외선을 제대로 차단하지 못할 수 있다”고 전했어요.

왜 적외선 차단제는 없나요?
SPF 지수별 차단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