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UPePub

    키워드

    과학동아로 한방에 끝내는 과학탐구

    AI, 기후•환경, 공학
    동아사이언스과학동아북스 · 2024년 11월 07일
    3,000

    구독 상품(Smart+, d라이브러리 Basic/All 패스) 구매자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별도의 설치 없이 인터넷으로 쉽게 읽는 e북 뷰어입니다. WI-FI 환경에서 사용을 권장합니다.

    키워드

    혹시 어떤 과학 탐구 활동을 할지 고민인가요?

    ‘과학동아로 한방에 끝내는 과학탐구’는 2024년 시사 이슈를 깊이 있게 다룬 과학동아 기사들을 통해 학생과 교사가 과학 탐구 주제를 선정하는 데 도움을 드립니다.
    AI, 기후·환경, 공학 분야의 다양한 최신 이슈에 관한 논점을 정리하고 각 분야 전문가의 입장을 담아 기사만으로도 탄탄한 보고서나 카드뉴스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진로 탐색에도 도움이 되도록 기사와 연계된 계열 및 학과 정보를 담았고, 기사별 탐구 주제도 추천합니다.

    이런 분들께 추천해요💛

    - 교과세특 때문에 고민인 분
    - 과학동아 기사를 입시에 활용하고 싶은 분
    - 과학 탐구 활동 주제를 찾고 있는 분
    - 영재교육원, 영재고, 과학고 입시를 준비 중인 분

    목차

    Section1. AI
    ● 노벨상 휩쓴 AI, 과학계에 미치는 영향은?(1)
    - [물리학상] 챗GPT 낳은 인공신경망 토대 구축한 과학자
    - [화학상] 생명현상의 기본 ‘단백질’ 설계 · 구조 예측 AI 개발 과학자들
    - AI 생화학자는 인간 생화학자와 공존할 수 있을까?
    - 베이커 교수와 구글 딥마인드는 라이벌?
    ● 노벨상 휩쓴 AI, 과학계에 미치는 영향은?(2)
    - AI 분야 수상, 이해 안 된다 VS 문제 없다
    - 베이커 교수와 로제타폴드 함께 개발한 과학자의 생각은?
    ● AI로 노벨상 받은 과학자, AI 위험성 경고
    - 물리학상 힌턴 교수, 자신이 토대 닦은 AI 위험성 경고
    - 화학학상 베이커 교수, AI 오용 방지 협약 진행
    ● 일파만파 딥페이크 탐지할 방법은?
    -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딥페이크 성범죄
    - 국내 딥페이크 탐지 기술 5
    - 국가 주도 딥페이크 탐지 기술
    - 딥페이크 방해 기술 글레이즈/나이트셰이드
    ● IMO 주인공은 AI, 인간 실력 능가할까?
    - AI, 다수결 이용해 수학대회 우승
    - 필즈상 수상자, AI기업 모두 수학 AI 연구

    Section 2. 기후· 환경
    ● AI·자율주행·암호화폐, 미처 몰랐던 탄소 배출
    - 데이터 센터 탄소발자국, 비행기 넘어서다
    - 암호화폐 벌면 기후변화 빨라지는 이유
    - 자율주행 AI 똑똑해지면 탄소 배출 증가?
    - 이메일 지우면 디지털 탄소발자국 줄어들까
    - 바다에 집어넣고 산에다 짓고, 친환경 데이터
    - 앞으로 더 중요해질 디지털 탄소발자국

    ● 극한호우시대, 댐으로 대응할 수 있을까?
    - 극한호우시대가 시작됐다
    - 하천 범람, 댐으로 막을 수 있을까?
    ● 극한호우시대, 대심도 빗물터널로 대응할 수 있을까?
    - 극한호우시대, 지하 물길이 답일까
    - 대심도 빗물터널로 서울시 홍수 피해를 막을 수 있을까?
    - 댐 · 빗물터널 짓기 앞서 기존 인프라 점검이 우선
    ● 1년만의 규제 해제, 종이 빨대는 어떻게 될까
    - 갑자기 뒤바뀐 종이 빨대의 운명
    - 바뀐 정책 방향, 시민들의 생각은?
    - 빨대, 무엇이 친환경일까?
    - 일회용 컵도 비닐봉투도 결국 답은 ‘안 만들기’
    - 규제 vs. 자발적 참여, 경제학자의 답은?

    Section 3. 공학
    ● 전기차 배터리 화재 원인과 대응책
    - 역폭주, 수평화염, 재발화 공포의 배터리 화재
    - 배터리 화재 막는 기술 4
    ● 의심 766건, 인정 0건? 자동차 급발진 존재할까
    - 기계적 결함 VS 전자적 결함
    - 급발진 판별의 핵심, EDR
    - EDR 데이터, 믿을 수 있을까?
    - 급발진 의심 사고 결과, 우리는 왜 못 믿는 건가?
    ● 우주쓰레기 태우는 게 최선일까?
    - 휴대전화 불통 일으키는 우주쓰레기
    - 우주쓰레기 처리 방법은?
    - 대기권으로 내려 태우는 방법, 최선일까?
    ● 뉴럴링크가 보여준 건 혁신일까, 허상일까?
    - 마우스 조작, 20년 전부터 가능했다?
    - 뉴럴링크가 보여준 변화, 하드웨어의 혁신
    ● BCI 기술의 현재와 미래
    - BCI 기술의 현재, 마비 환자가 다시 걷고 말하다
    - BCI 기술의 미래
    - 해결해야 할 숙제
    ● 5명의 과학자가 말하는 영일만 유전 개발
    - 석유 개발 사업을 하게 된 배경은?
    - 석유 탐사 시추 처음이 아니다!
    - 탐사 시추 성공률 '20%'의 의미는?
    - 탐사 시추, 성공하더라도 시작일 뿐
    - 탄소중립시대에 석유 · 가스전 새로 개발해도 될까?

    정보

    • 발행사

      과학동아북스
    • 발행일

      2024-11-07
    • 열람 형식

      EPUB
    • 쪽수

      48p
    • ISBN

      978-89-6286-933-0
    상품 리뷰(0)※ 상품과 관련 없는 댓글, 광고, 악플 등은 삭제 및 차단 됩니다.
    평균 평점
    전체 리뷰 수

    0
    첫 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과학동아로 한방에 끝내는 과학탐구
    3,000